EZ EZViwe

성인 모야모야병 환자의 표준 수술법을 정립하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김정은, 조원상 교수 연구팀

남지은 기자 기자  2014.10.17 10:04:27

기사프린트

허혈을 동반한 성인 모야모야병 환자에 있어서 복합혈관문합수술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김정은, 조원상 교수 연구팀은 04년부터 08년 까지 60명의 환자에 대한 77건의 복합혈관문합수술을 5년 이상 장기 추적 관찰한 결과를 발표했다. 


모야모야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원인미상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질환으로, 심하면 뇌허혈(좁아진 뇌혈관으로부터 혈액을 공급 받는 뇌 조직이 빈혈인 상태)이나 뇌출혈이 올 수 있다. 이는 일본, 중국, 한국 등 동양인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발연령은 소아와 성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소아는 주로 뇌허혈 증상으로, 성인은 뇌출혈과 뇌허혈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이 경미하면 경과만 관찰하면 되나, 위중하면 수술을 받아야 한다.  


연구 내용을 보면, 복합혈관문합수술을 받은 환자의 연간 뇌경색 발생률은 0.2%, 연간 뇌출혈 발생률은 0.4%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병원에서 경과만 관찰한 환자 241명의 연간 뇌경색 발생율 3%, 뇌출혈 발생율 4.3% 보다 훨씬 낮았다. 


복합혈관문합수술을 받은 환자의 5년 무(無)뇌졸중 생존율이 98.7%인 반면, 경과만 관찰한 환자는 83%에 그쳤다. 수술 받은 환자가 경과 관찰 환자보다 증상이 더 심했음을 감안하면, 복합혈관문합수술의 우수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김정은 교수는 “소아 환자에게는 수술적 치료가 효과적임이 잘 알려져 있지만, 성인 환자에게는 수술법이나 발현 증상에 따라 수술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장기간 연구가 없었다” 며 “이 연구로 허혈이 심한 성인 모야모야병 환자에 있어서는 복합혈관문합술이 매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뇌혈관질환 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인 ‘Stroke'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