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전체 장내기생충 감염 추정 양성자 수는 약 130만명으로 그중 어패류매개성 기생충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간흡충 932,540명(1.86%), 요코가와흡충 128,799명(0.26%), 참굴큰입흡충 10,790명(0.02%)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토양매개성 기생충은 편충 204,908명(0.41%)과 회충(15,757명)이였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전병율)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조명찬)은 2012년 조사에서 우리나라 국민의 전체 장내기생충 감염 추정 양성자 수는 약 130만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조사결과 지역별 장내기생충 양성률을 보면 한국의 남부지역에 편중하여 집중적으로 유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북이 8.54%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전남 7.56%, 경남 6.98%, 그리고 광주 5.86% 순으로 나타났으며, 강원도가 0.09% 그리고 제주도가 0.28%로 가장 낮은 양성률을 보였다.
도시와 농촌간의 발생비율은 농촌이 4.29%로 도시 2.22%에 비하여 2배 가까이 감염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광역시 ㆍ서울(0.85%), 부산(1.75%), 대구 1.89%, 인천(0.41%), 광주(5.86%), 대전 2.66%, 울산 3.65% 2. 도 ㆍ경기 2.17%, 강원 0.09%, 충북 0.68%, 충남 1.85%, 전북 1.45%, 전남 7.56%, 경북 8.54%, 경남 6.98%, 제주 0.28% |
연령별 장내기생충 양성률을 보면 10대 이후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50대에서 최고치를 보임에 따라 연령별 활동과 관련이 있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생충별 양성률을 보면 후진국형 토양매개성 기생충 중 편충을 제외한 회충, 구충, 동양모양선충은 전국적으로 퇴치수준으로 나타났다.
토양매개성 선충류의 전체 양성률은 0.44%로 7차 조사(2004년)의 0.32%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증가의 주요원인은 편충의 양성률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8차 조사는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토대로 전국 603개 조사구(9,000가구)에 대한 설문조사 및 대변검사를 216개 보건소와 한국건강관리협회가 공동으로 수행하였다.
말라리아기생충과 이원자과장은 이번 8차 조사의 기생충 감소원인은 “2005년부터 실시한 우리나라 주요 강 유역 보건소 중심의 「간흡충 퇴치사업」을 통한 고위험군 검진과 투약사업 그리고 지역주민 생식금지 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진 결과다”라고 설명하며, ‘14년부터는 “이번 8차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간흡충 퇴치전략을 구상하여 보건소 및 한국건강관리협회 공동으로 퇴치사업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