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물로 제2형 만성 비부비동염 진단한다

  • 등록 2025.08.08 10:00:49
크게보기

만성제2형 만성 비부비동염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발굴
환자 콧물 검체에서 시스타틴 SN 단백질 발현 높아


 

콧물을 이용해 만성 비부비동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나민석 교수, 용인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문서진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문성민 박사 연구팀은 콧물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제2형 만성 비부비동염을 진단할 수 있다고 8일에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 알레르기 임상면역학회지 ‘알러지(Allergy, IF 12.0)’에 게재됐다.

 

만성 비부비동염은 비강(nasal cavity)와 부비동(paranasal sinus) 점막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코막힘, 콧물, 안면 통증 또는 압박감, 후각 저하 등이 주요 증상이다.

 

만성 비부비동염은 염증 양상에 따라 크게 제2형(type 2)과 비2형(non-type 2)으로 구분하한다.제2형과 비2형은 발생 기전과 치료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춘 정밀한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정확한 사전 진단이 중요하다. 제2형을 가장 정확히 진단하는 방법은 점막 조직을 통한 병리학적 검사이지만 수술, 조직 생검 등 침습적인 방식으로 이뤄져 환자에게 부담이 크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어 일상 진료에 적용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환자 통증이나 불편감 없이 쉽게 얻을 수 있는 검체인 콧물을 활용해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제2형 만성 비부비동염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했다.

 

만성 비부비동염 환자를 대상으로 콧물과 비강 점막 조직을 확보한 후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해 제2형 염증 상피세포에서 발현이 증가한 CST1 유전자를 후보 물질로 도출했다. 제2형, 비2형, 건강군의 콧물 검체를 면역형광염색과 효소면역측정법을 통해 비교했더니, CST1 유전자가 만드는 시스타틴 SN(cystatin SN) 단백질 발현이 제2형군에서만 뚜렷하게 높았다.

 

콧물의 시스타틴 SN 단백질 발현양은 증상 중증도, 후각 저하 정도 등 환자가 보이는 임상 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조직에서의 제2형 염증의 정도를 잘 반영했다. 또 콧물 시스타틴 SN 단백질의 예측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ROC 곡선 분석을 거쳤다. 기존에 제시됐던 혈액 지표들에 비해 더 우수한 예측 정확도를 자랑했다. 1에 가까울수록 예측 정확도가 높다는 의미인 AUC 값은 0.894를 기록했다.

 

나민석 교수는 “만성 비부비동염 환자에서 개별 염증 양상에 기반한 맞춤형 정밀 의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치료 시작 전 환자의 염증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는 콧물이라는 간편한 검체를 통해 2형 염증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클리닉저널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