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이상지방간환자 음주시' .심혈관질환 위험 28%` 높아져

  • 등록 2023.11.20 15:51:00
크게보기

대사이상지방간 있으면 없는사람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 19% 높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원 교수 연구팀

과체중이나 대사증후군 등 위험 인자를 가진 지방간 환자는 음주 시 심혈관질환 위험이 28%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원 교수 연구팀이 건강보험공단 국가건강검진을 시행한 47∼86세 성인 35만여명을 9년간 추적 조사 및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대사이상지방간질환(MASLD) 환자에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됐다.

     ▲ 김 원 교수

 

대사이상지방간질환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5가지(과체중 또는 복부비만·혈당 장애·고혈압·높은 중성지방·낮은 HDL 콜레스테롤) 중 한 가지 이상을 가진 지방간 환자를 칭한다.

 

연구 결과 대사이상지방간질환이 있으면 지방간이 없는 사람에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이 19% 높았고,  이들은 하루 소주 반병에서 한 병 정도의 중등도 음주(남성 기준 알코올 섭취량 30∼60g) 시 심혈관질환 위험이 지방간 없는 사람에 비해 28%까지 증가했다.

 

연구진은 "지방간이 있는 경우 알코올 섭취가 심혈관질환을 보다 높일 수 있어 금주와 절주가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 원장은 "대사이상지방간질환 환자에게서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처음으로 확인한 의미 있는 연구"라며 "대사이상지방간질환을 앓는다면 금주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갖고 실천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지방간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을 조기에 예측·진단하기 위한 연구사업을 기획·지원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의 국제학술지 '랜싯'(Lancet)의 자매지 'e임상의학'(eClinicalMedicine)에 게재됐다.

 

 

클리닉저널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