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기관 수준 차 커.. 1등급 기관수는 145기관

  • 등록 2011.11.03 10:03:09
크게보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0년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결과 공개

 

 

 

 

액투석 인력, 시설, 장비 등 치료환경(구조)과 의료서비스(진료내용) 평가결과를 종합하여 1등급부터 5등급으로 나눈 결과, 1등급 기관수는 145기관으로 충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평가결과가 낮은 4, 5등급 기관은 115기관이고, 이중 올해 처음 평가를 받은 88기관 중 28기관(31.8%)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인공신장실을 운영하는 전국의 모든 의료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0년 혈액투석 적정성 평가결과를 공개하였다

평가대상은 201010월부터 12월에서 외래 혈액투석을 실시한 총 640기관으로

상급종합 44, 종합병원 176, 병원 104, 의원 316개소였다

액투석 환자는 58,232, 진료비는 13,643억원으로 ’06년에 비해 각 31.9%, 60.7% 증가하였는데, 특히 65세 이상 고령 환자가 22,445명으로 ’06년에 비해 5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투석기를 보유하고 있는 요양기관은 710기관, 비수는 14,804대이며, 기관 당 평균투석기수는 20.9대로, 최대 101대를 보유하고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석기 1대당 1일 투석횟수는 1.2회로 최소 0.2에서 최대 2.7회로 기관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투석 환자는 뇌졸중, 심질환, 감염 등으로 인해 사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각종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치료기간 중 삶의 질 문제가 크므로 의료기관의 보다 적절한 환자관리를 유도하기 위해 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09년부터 평가를 실시하게 되었고 2010년 평가는 수질검사 등 평가기준을 강화하여 실시하였다.

혈액투석 (血液透析: hemodialysis)

만성 콩팥병이 계속 진행하여 콩팥기능이 정상인의 10%이하로 저하되면 노폐물과 과잉 수분이 너무 몸 안에 많아져 콩팥기능을 대신하는 혈액투석 혹은 복막투석치료를 받거나 콩팥 이식을 받지 않으면 생명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혈액투석은 투석기계로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일주일에 세 번 인공신장실을 방문하여 실시 받으며 평생 동안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이러한 혈액투석 환자는 심장질환 및 뇌혈관 장애인한 사망이 많고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환자 상태에 따른 투석의 적절성 검사 및 약물요법 등이 필요하며, 혈액투석시 사용하는 물에 대한 수질관리와 투석에 이용되는 접근혈관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혈액투석 환자의 생존율 및 사망원인 (대한신장학회, 2010)

- 혈액투석 환자의 5년 생존율 67.4%

- 흔한 사망원인 : 심장질환 28%, 뇌혈관질환 17%, 감염증 22%

 

주요 평가내용은 치료환경(구조)부문에 혈액투석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 비율, 의사/간호사 1인당 1일 평균투석횟수 및 응급장비 보유여부 혈액투석용수에 대한 수질검사 등이며

 

의료서비스(진료내용) 혈액투석 적절도 검사 및 혈관협착 여부 모니터링, 정기검사 실시여부 등 11개 지표로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치료환경 및 진료내용부문 모두 기관별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일부 기관의 경우 전문인력 1인당 투석횟수는 질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와 간호사의 1인당 1일 평균 투석횟수는 의사 22.7, 간호사 4.5회로 나타났다. 혈액투석 전문가 단체의 의견에 따르면 적정진료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1인당 1일 최대 투석횟수를 의사 50, 간호사 6.5회로 정하고 있는데, 횟수를 초과하는 기관이 각각 22기관(3.4%), 45기관(5.5%)로 나타났고, 특히 1인당 1일 투석횟수가 100회를 넘는 기관도 2기관이 있었다.

 

이번 평가에서 전년도 평가대비 질 개선이 뚜렷하게 나타난 항목은 환자가 혈액투석을 받는 동안 발생하는 응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혈액투석실 전용 응급장비 보유여부와 진료내용부문에 동정맥루(혈액투석을 위한 혈관통로)협착 방지를 위해 정기적 모니터링 실시여부를 보는 동정맥루 협착증 모니터링 충족률 등이었다.

2010년 혈액투석실 응급장비 보유여부의 평균은 81.7%’09년 대비 18.3%p 증가한 반면, 혈액투석실 응급장비 미보유 기관은 아직도 117기관(18.3%)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중 병원이 36.5%를 차지하고 있어 차후 병원을 중심으로 개선을 추구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정맥루 협착증 모니터링 충족률은 평균 93.0%’09년 대비 12.4%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정맥루 협착증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지 않는 기관도 45기관(종합병원8, 병원17, 의원20)이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혈액투석 기관들의 자발적인 개선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력, 시설, 장비 등 치료환경(구조)과 의료서비스(진료내용) 평가결과를 종합하여 1등급부터 5등급으로 나눈 결과, 1등급 기관수는 145기관으로 충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평가결과가 낮은 4, 5등급 기관은 115기관이고, 이중 올해 처음 평가를 받은 88기관 중 28기관(31.8%)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도 5등급으로 평가받은 24기관 중 11기관(45.8%) 여전히 5등급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집중적인 개선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클리닉저널 clinic321@daum.net
Copyright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클리닉저널 (ClinicJournal) | [121-737]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5 (마포동 35-1) 현대빌딩 705호
Tel 02)364-3001 | Fax 02)365-7002 | 등록번호 : 서울 아 05030 | 등록일 : 2018.03.22 | 발행일 : 2018.03.22 | 발행·편집인 : 한희열 Copyright ⓒ 2008 클리닉저널.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linic32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