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1 (탈모)원형탈모증의 면역학적 치료 이상훈 교수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피부과)남성에서 안드로겐 유전성 탈모증의 발생원인 김성진 교수 (전남대학교병원 피부과)Special 2 (비만)비만한 환자에서 발생하는 이상지혈증의 약물치료 유병연 교수 (전양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비만환자의 당뇨병 관리 박주성 교수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비만의 의학적 이해 김인주 교수 (부산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그밖의 질환건조피부의 치료 홍승필 교수 (건양대병원 피부과)심부전 환자 진료시 주의점 강석민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내과)Case Review경구용제제를 통한 발기부전의 치료 김세웅 교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비뇨기과)
Special 1 (피부질환)건선에서의 가려움증 최지호 교수 (울산대 서울아산병원)습진의 진단과 치료 이지현 교수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이가영 교수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Special 2 (심장질환)고혈압 약물치료의 최신지견 박창규 교수 (고려대 구로병원)고혈압과 협심증 편욱범 교수 (이대목동병원)만성기침의 진단과 치료 이영민 교수 (인제대 부산백병원)그밖의 질환성폭력 피해 환자의 진료에 있어서 산부인과 의사의 역할 김탁 교수 (고려대 안암병원)배뇨장애. 전립선비대증 원인과 증상 오미미 교수 (고려대 구로병원)여성갱년기의 효율적 관리 박형무 교수 (중앙대 의과대학)Case Review케이스리뷰 프로세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전병율)는 자체개발한 재조합 탄저백신의 임상2상 시험 계획을 8월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탄저는 사람 및 가축에게 전염되고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는 인수 공통 전염병으로 생물테러나 실제 전투상황에서 생물무기로 탄저균이 악용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국가적 대비가 시급한 상황이다.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에서는 1997년 탄저백신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여 1998년 백신후보 물질 및 생산균주를 자체개발해 특허를 취득한 바있다.2002년부터 (주)녹십자를 통해 학술용역사업으로 생산공정개발 및 비임상시험 등 제품화연구를 수행하였고 2009년 6월 임상1상 시험을 완료한 바 있다. 개발된 탄저백신은 탄저균의 중요한 백신성분인 방어항원(Protective Antigen)을 주성분으로 한 유전자 재조합백신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