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5.5℃
  • 흐림강릉 7.6℃
  • 서울 7.8℃
  • 흐림대전 7.5℃
  • 맑음대구 12.4℃
  • 맑음울산 11.0℃
  • 맑음광주 7.8℃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5.4℃
  • 맑음제주 11.3℃
  • 흐림강화 5.5℃
  • 구름많음보은 7.4℃
  • 맑음금산 7.6℃
  • 맑음강진군 8.9℃
  • 맑음경주시 9.6℃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혈관 관련 질환 고령 치매 발병에 중요한 영향 끼친다

90% 이상 차지, 만발성 알츠하이머 치매 예방위해 혈관성 위험 인자 관리 중요하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 공동연구팀

65세 이상 고령에서 발병한 알츠하이머 치매는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 혈관질환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길병원 신경과 노영 교수와 연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조재림 교수, 고려대 성준경 교수 공동연구팀은 조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와 만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인지기능 저하 및 대뇌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위험인자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조발성 알츠하이머병과 만발성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인자 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조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타우 단백’이라는 알츠하이머병의 병리물질의 뇌 내 축적이 인지기능 저하에 대부분 기여했다.

 

반면, 65세 이후에 발병하는 만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타우 단백, 아밀로이드 단백 뿐 아니라, 미세출혈, 열공경색과 같은 대뇌 소혈관 질환과 고혈압,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고지혈증, 뇌졸중 과거력 등 혈관위험인자의 상대적 중요도도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특성 차이는 뇌 자기공명영상으로 측정한 대뇌피질 두께 분석에서도 비슷하게 관찰되었다. 조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타우 축적이 대뇌피질 두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밝혀졌다.

 

만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대뇌피질 위축에 있어서 타우 축적의 상대적 중요도가 떨어지는 반면, 열공경색과 미세출혈이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밝혀졌다.

 

노영 교수는 “이번 연구로 알츠하이머병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만발성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기억력과 같은 인지기능과 신경세포의 퇴행을 나타내는 뇌의 피질 위축에 있어서 알츠하이머병의 병리 물질뿐 아니라 혈관성 위험 인자 및 뇌의 소혈관질환 상태가 고루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며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혈관성 위험 인자 관리가 더욱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게재됐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