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9 (목)

  • 맑음동두천 -7.8℃
  • 구름많음강릉 1.5℃
  • 맑음서울 -4.6℃
  • 맑음대전 -5.3℃
  • 맑음대구 -1.4℃
  • 흐림울산 -1.3℃
  • 맑음광주 -1.6℃
  • 맑음부산 -0.6℃
  • 맑음고창 -3.7℃
  • 제주 5.5℃
  • 맑음강화 -5.6℃
  • 맑음보은 -7.6℃
  • 맑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0.5℃
  • 구름많음경주시 -1.3℃
  • 맑음거제 0.5℃
기상청 제공

말초 신경 선택적 제어 기술 완성

혈액-뇌 장벽을 넘지 않는 리간드로 말초 신경만 정밀 제어
말초 신경 제어 플랫폼, 다분야 연구와 치료의 미래를 열다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강혜진 교수 연구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강혜진 교수 연구팀이 말초 신경계를 독립적으로 연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화학유전학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의 Bryan Roth 교수 및 Grégory Scherrer 교수 연구팀과 협력해 진행됐으며, 세계적인 생물학 학술지 Cell에 12월 3일 자로 발표됐다.

 

말초 신경계는 통증, 염증, 가려움증 등 많은 질환과 연관이 있지만, 연구와 치료법 개발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 강 혜진 교수

 

특히, 기존 약물은 중추 신경계에도 영향을 미쳐 졸음, 중독, 신경학적 부작용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대표적으로 모르핀은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에서 발현되는 Mu-오피오이드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지만, 부작용은 주로 중추 신경계에서 발생한다. 이에 따라 말초 신경계만을 선택적으로 연구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했다.

 

화학유전학 기술인 DREADD(Designer Receptors Exclusively Activated by Designer Drugs)는 주로 무스카린 수용체(M3 또는 M4)의 돌연변이에 기반해 Clozapine-N-Oxide(CNO)와 같은 리간드로 특정 신경세포를 흥분시키거나 억제함으로써 동물의 특정 뇌 회로와 행동을 정밀하게 분석해 왔다. 그러나 CNO는 야생형 무스카린 수용체를 활성화하거나 혈액-뇌 장벽(BBB)을 통과해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혜진 교수 연구팀은 뇌에서 발현이 낮은 HCA2(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 2) 수용체를 기반으로, 구조 기반 설계를 통해 말초에 국한된 Gi-DREADD인 ‘HCA2 DREADD(HCAD)’를 개발했다.

 

또한 HCAD만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면서 혈액-뇌 장벽을 통과하지 않아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수 리간드를 설계하기 위해, 초대형 화합물 라이브러리와 다양한 세포기반 실험을 활용해 적합한 리간드를 선별했다.

 

이어 저온전자현미경(cryo-EM) 기술을 통해 HCAD와 해당 리간드 간의 결합 및 활성화 기전을 3차원 구조로 규명했다. 동물 모델 실험에서는 HCAD를 말초신경인 배근신경절(DRG) 뉴런에 발현시키고, 리간드를 처리해 활동전위를 억제함으로써 급성 및 염증성 통증을 완화하는 데 성공했다.

 

강혜진 연세대 교수는 “이번 논문은 새로운 DREADD 기술의 개발과 이를 적용한 연구로, 세계적인 학술지에서 인정받았다는 점뿐만 아니라, 기존의 중추 신경계에 국한됐던 기술을 말초 조직까지 확장해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라며, “이 DREADD 플랫폼이 앞으로 말초 신경과 관련된 신경병증, 통증, 염증, 가려움증 뿐만 아니라, 대사, 암, 면역 등 말초 분야의 기초 및 중개 연구에서도 매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신진연구자사업, 국제 선도연구센터 기초의과학분야, 바이오의료기술사업, 신진인프라사업 그리고 산업통상자원부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조민정 석박통합과정생(공저자)이 함께 참여했다.

 

◈그림】말초 신경 특이적 화학유전학(HCAD) 플랫폼 설계와 이를 활용한 말초 신경 조절 및 동물 모델 통증 억제 연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