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5.5℃
  • 흐림강릉 11.8℃
  • 서울 8.5℃
  • 구름많음대전 12.2℃
  • 흐림대구 10.5℃
  • 흐림울산 10.4℃
  • 흐림광주 12.4℃
  • 흐림부산 11.9℃
  • 구름많음고창 11.7℃
  • 흐림제주 13.0℃
  • 흐림강화 5.9℃
  • 구름많음보은 10.3℃
  • 구름조금금산 12.0℃
  • 구름많음강진군 13.1℃
  • 흐림경주시 8.7℃
  • 흐림거제 10.7℃
기상청 제공

근감소증 새로운 치료기전과 약물 개발 가능성 열어

약물 재창출 접근법 통해 근감소증 치료의 가능성 모색
특정 약물 근육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활성화하고, 근육 손실 억제하는 효과 확인
앞으로 환자 중심의 치료법 개발과 첨단 기술 접목한 연구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
단국대병원(병원장 김재일) 재활의학과 현정근 교수팀

단국대병원(병원장 김재일) 재활의학과 현정근 교수팀이 발표한 근감소증 치료를 위한 연구 성과가 최근 세계적인 학술지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JCSM)’에 실려 주목을 끌고있다.

 

JCSM은 노화, 근감소증, 영양실조 등 근육과 대사 관련 질환 연구를 다루는 학술지로, 노인의학 및 내과학 분야에서 상위 5% 이내에 속하는 저널이다. 현 교수팀은 기존 약물의 새로운 용도를 탐구하는 약물 재창출 접근법을 통해 근감소증 치료의 가능성을 모색했다고 14일 밝혔다.

근감소증(Sarcopenia)은 노령화가 가속화되며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질환이다. 특히 노인에서 낙상과 기능 상실, 사망률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심각한 의학적·사회적

▲ 현 정근 교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근감소증 치료를 위해 다양한 약물이 연구 중이나 부작용이나 미흡한 효과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현 교수팀은 동물 모델을 이용해 특정 약물이 근육세포의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활성화하고, 근육 손실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는 근감소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기전과 약물 개발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기존에 사용하던 약물들의 경우 이미 다른 질환에 대해 안정성이 입증된 약물로, 근감소증 치료제로서의 임상 전환 가능성이 커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근감소증의 새로운 치료 기전을 제시함과 동시에, 약물 재창출 전략이 효과적인 접근법임을 보여준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연구 결과는 국내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도 등재되어 국내외 학술 커뮤니티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현 교수는 이외에도 최근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지로 알려진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생분해성 전자 텐트 전극 기술을, '사이언스'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는 초고감도 스트레인 센서를 발표하며 신경 재활과 생체 모니터링 기술에서도 혁신적인 성과를 보였다.

 

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근감소증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치료법 개발과 첨단 기술을 접목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