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빅데이터의 80% 이상은 형태와 구조가 복잡한 비정형데이터로 구성돼있다. 개인맞춤형 의료서비스 개발을 위해서는 데이터 표준화와 정제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서울대학교 의료빅데이터센터 김석화 센터장은 “비정형데이터는 숫자 데이터와 달리 그림이나 영상, 문서형태의 데이터로, 구조가 정형화되지 않아표준화와 정제과정이 까다롭다”며“센터는 우선 비정형데이터의 표준화 및 정형화 기술을 개발하는데주력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대학교 의료빅데이터연구센터는 9월 7일,ITRC 지원 사업 기관에 선정된 것을 기념하고 센터 개소를 알리기 위해 학계와 산업계 전문가를 연자로 초청해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이날 심포지엄은 ▼의료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연계, ▼의료빅데이터 산업화를 주제로 진행됐다. 이 중 심포지엄 두번째 주제인 ▼의료빅데이터 산업화 세션 중 라인웍스 조용현 대표의 ‘의료빅데이터의 현재 상황과미래 가치’ 발제를 소개한다. "빅데이터는 앞으로의 일을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채고, 가설을 빠르게 검증해 변화를 만들어 갈 수 있게 돕는 지침이다." 4차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정밀의학’이 발전하고 있다. 정밀의학의 발전은 의료데이
사후 치료 중심이던 의료 패러다임이 예방중심으로 전환돼 한국형 인공지능 ‘닥터앤서’의 개발과 정밀의료서비스 발전 가능성에 귀추가 주목된다. ‘닥터앤서’는 정부가 개발하는 AI기반 정밀의료 솔루션이다. 정부는 2020년까지 3년간 총 357억 원을 투입, 심혈관, 암, 뇌 분야의 8개 중점질환에서 21개의 인공지능 의료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할 방침이다. 인공지능 의료SW에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개최된 2018 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KHF)는 AI기반 정밀의료의 이슈를 공유하기 위해 ‘한국형 인공지능 정밀의료의 시작!’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열린 세미나에서 주요 발제자의 강연을 소개한다. 백롱민 교수는 ‘디지털헬스케어: 미래의료’의 강연을 통해 헬스케어 패러다임이 치료중심에서 사전예방으로 변화하고 있다면서 데이터를 활용하는 미래의료로 질병의 원인 파악과 조기발견 가능하고 따라서 예방, 진단, 치료로 의료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백 교수는 “국내 고령화와 만성질환이 심각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런 추세라면 건강보험의 적자 규모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이런 상황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도입은 건보재정의 절감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