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선웅 교수가 미니뇌 제작 프로젝트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 <나는 뇌를 만들고 싶다>(이음, 296페이지)를 출간했다.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뇌신경과학 및 신경조직해부학 분야 연구자인 선웅 교수는 본 저서의 제목처럼 최근 미니뇌(뇌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다. 미니 장기로 불리는 ‘오가노이드(organoid)’는 인간의 발생 과정 탐구, 질환의 원인 파악, 약물 개발과 부작용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해 잠재력이 매우 크다. 크게 일곱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본 저서는 선 교수가 지난 20년 동안 연구해온 뇌발생 분야를 바탕으로 하여, 미니뇌의 특징과 이론, 설계도와 재료, 만드는 방법과 원리를 설명한다. 또한 의과학자로써 직접 미니뇌를 연구하고 있는 과정, 과거에 겪었거나 현재 겪고 있는 고민 뿐 아니라 뇌는 어떤 장기이고 인간은 어떤 존재인지, 과학기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시사점을 이야기하며 흥미를 유발한다. 선웅 교수는 “본 저서를 통해 독자들이 인간의 뇌와 우리이 정신세계가 어떠한 존재인지 이해해 나가는 영감을 얻길 바라며,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이 범람하는 현재 과학기술의 발전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학장 윤영욱) 병리학교실 김인선 명예교수가 대표역자로서 스프링거(Springer)에서 발간한 <AJCC 암 병기설정 매뉴얼 8판(원제: AJCC Cancer Staging Manual, Eighth Edition)> 번역판을 출판했다. 본 저서는 암의 병기 및 최종 결과 보고를 포함한 암 분류 시스템을 공식화하고 발표하는 미국암연합회(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에서 발간하며, 전 세계 종양학자, 병리의사, 영상의학과, 암 등록자, 인구과학자, 통계학자 등 암 분야에 종사하는 의료인들이 종양을 일관성 있게 기술하고 보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표준 참고서이다. 특히, 암의 적절한 분류와 병기설정은 의사가 치료방침을 정하고 결과와 임상시험을 평가하는 것뿐 아니라 암 발생율과 결과에 대한 보고의 표준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번 8판은 12개의 새로운 병기설정 체계, 광범위하게 바뀌거나 새로워진 병기설정 정의, 개인맞춤 의료방식의 중요성을 재정비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정년 후 현재 진주 고려병원에서 병리과장으로 근무 중인 김인선 명예교수는 “2016년에 출판된 AJCC 암 병기
돌아가신 아버지와 같은 심장병, 같은 심장보조장치 삽입 그리고 아들도 아버지처럼 심장이식을 받고자 대기 중인 국내 첫 사례가 나왔다. 의료진은 가족성 심장병을 앓고 있는 경우 유전자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과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에 따르면, 지난 2일 비후성 심근병증 말기로 진행한 김영대 씨(남, 만58세)가 심장이식을 받기 전까지 생명을 유지하고 일상생활을 하고자 좌심실 보조장치(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LVAD, 엘바드)를 안전하게 삽입 받고 퇴원했다고 밝혔다 김영대 씨는 건강검진에서 ‘심장이 두껍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2004년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를 찾았다. 진료 결과 진단명은 아버지가 앓았던 ‘비후성 심근병증’이었다. 이 질환은 좌심실이 두꺼워지는 것을 일으키는 대동맥판막 협착증이나 고혈압을 앓고 있지도 않은데도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질환으로, 인구 500명당 1명꼴로 발견된다. 이후 김영대 씨는 부정맥 악화로 실신까지 해 2014년 7월 심장내과 박희남 교수에게 삽입형 제세동기를 시술받았다. 이후 호흡곤란 등 심부전 증상 악화로 입·퇴원을 반복하며, 아버지처럼 말기 비후
“재활병원에서는 장애유형별로 전문화된 진료를 제공하고, 재활로봇을 비롯한 첨단 장비를 이용한 국내 최고 수준의 재활치료로 우리나라 재활의료 분야를 이끌고 있습니다. 성재활 사업, 주간재활병동과 스마트홈 운영, 장애인 스포츠 프로그램 등 민간 의료기관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입원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사회복귀가 가능하도록 개인별 맞춤형 사회복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국립재활원 홈페이지를 통해 이범석 원장이 밝힌 인사말의 한 부분이다. 이를 통해 현재 국립재활원이 수행하고 있는 기능과 역할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이범석 국립재활원장은 연세의대를 졸업한 후 세브란스병원에서 재활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했다. 이후 이 원장은 국립재활원에서 척수손상재활과장 및 병원부장을 역임하고, 2017년부터 국립재활원장과 국립재활연구소장으로 재임 중이다. 이범석 원장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국립재활원의 기능과 역할에 관해 들어 보았다. 현재 국립재활원이 수행하고 있는 주요 기능과 역할에 대해 말씀해 주시지요. 무엇보다도 지난해 국립재활원이 정부로부터 ‘책임운영기관 우수기관’으로 선정이 되었다고 하는데 먼저 그에 대한 설명부터 해주시지요. 처음부터 저희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한종현)는 국내 척추 솔루션 기업 ‘VNTC(VALUE AND TRUST, 밸류앤드트러스트, 대표 노경석)’와 척추측만증 보조기 ‘스파이나믹(Spinamic)’ 국내외 독점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계약에 따라 동아에스티 의료기기사업부와 해외사업부가 국내외 유통망을 활용해 스파이나믹을 판매해 나갈 계획이다.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는 질환이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체 인구의 약 4%가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고, 척추측만증 환자 중 약 44%가 성장기 청소년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척추측만증은 장기간에 걸쳐 경증, 중등증, 중증으로 발전하며, 방치 시 흉터와 부작용이 남는 수술을 시행해야 하므로 초기부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스파이나믹은 경성 보조기의 교정 원리와 연성 보조기의 편의성을 겸비한 의복형 하이브리드 보조기다. 플라스틱형 보조기 착용이 어려워 방치되고 있는 경증 단계 환자부터 성인 및 장애 환자까지 넓은 범위에서 착용 가능하다. 경성 보조기와 동일하게 Deflexion(역휨), Derotation(역회전), Elongation(신장력)의 필수 교정 원리를 다양한 밴드 및 패드로 구현하고 있으며, 다이
가천대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배승민 교수가 소아 정신과 전문의로서 지난 20년 간 진료 경험을 바탕으로 일상에서 느낀 점을 엮은 에세이집 ‘내게 위로가 되는 것들’을 최근 발간했다. 현재 배 교수는 가천대 길병원에서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법무부 위탁 인천 스마일센터장,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총무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 책에는 배 교수가 의사와 엄마로서 살아오며 느껴왔던 일상들이 빼곡히 담겨있다. 수많은 환자들을 만나면서 다져진 예민한 시선으로 우리가 미처 헤아리지 못했던 상황과 감정을 섬세하게 포착해 엮은 것이 특징이다. .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애보트(Abbott)는 만성 통증 환자를 위한 비충전식(recharge-free) 척수신경조절자극기 Proclaim™ XR시스템을 국내에 출시한다. Proclaim XR시스템은 애보트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BurstDR™라는 자극 방식을 사용,임상연구를 통해 BurstDR 자극은 인간의 뇌에서 발생하는 자극과 유사한 형태 작용하도록 개발됐다.BurstDR 자극 방식은 저용량의 전기 자극으로도 척수에서 뇌로 이동하는 통증 신호를 변화시키며,이를 통해 ProclaimXR 시스템의 배터리 사용 기간을 늘린다. 그 결과 Proclaim XR시스템은 충전의 번거로움 없이 최대 10년까지 사용할 수 있다. 24명의 만성통증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BurstDR micrOdosing stimuLation in De-novo patients (BOLD) 임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낮은 강도의 BurstDR 전기자극을 사용한 24명의 환자 모두 하루에 최대 6시간 동안만 시스템을 사용하고, 나머지 시간 동안은 배터리를 꺼 놓아도 통증 완화 효과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절반 가량은 배터리를1일 2시간 미만으로 사용하는 가장 낮은 에너지 사용 프로그
. 전남대학교병원 피부과 이승철 교수가 내년 2월 정년퇴임을 앞두고 노인 피부관리를 위한 ‘시니어 피부과학(Senior Dermatology·도서출판 대한의학)’을 출판했다. 이번에 출간된 책은 65세 이상의 연령층 뿐만 아니라 50대의 중년 이후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각종 피부질환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총 300여쪽에 걸쳐 총론(7장)과 각론(14장)으로 구성됐다. 총론에서는 피부노화와 노인 피부의 특성 그리고 노인피부에서 가장 문제되는 피부소양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각론에서는 중년 이후 노인 연령에서 주로 발생하는 피부증상이나 질환을 소개하고 있다. 또 습진성 질환, 건선, 백반증과 같이 젊었을 때부터 발생 한 피부질환이 시니어 연령까지 지속되거나 재발되는 질환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실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진단법과 최신 치료법 등을 소개했으며,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의 임상 사진도 첨부했다. 구체적으로 총론에서는 ▲피부노화의 종류 ▲피부노화의 특성 ▲표피에서 피부노화에 따른 구성세포와 성분의 변화 ▲진피에서 피부노화에 따른 구성세포와 성분의 변화 ▲피부노화에 따른 피하지방의 변화
한국로슈진단(대표이사 조니 제) 당뇨관리사업부는 병원용현장검사 내부정도관리 시스템, 아큐-첵 퀘스트(Accu-Chek Quest)를 공식 출시했다. 아큐-첵 퀘스트는 아큐-첵 자가혈당측정기 및 검사지가 정기적인 품질 검증(QC)을 통해, 정밀도 기준에 맞게 정상적으로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간편한 현장검사(Point ofCare Test) 제품으로 혈당 현장검사의 품질 보증의 역할을 맡고 있는의사, 간호사, 임상병리사와 같은 의료전문가들에게편리한 품질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적절하지 않은 혈당 조절이 입원환자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데 당뇨 유무와 상관 없이 고혈당은 내과계 중환자실(MICU) 환자에게 나타나는 흔한 증상으로 부정적 결과의 예측 변수가될 수 있다. 또한, 심각한 저혈당 역시 사망률을높일 수 있으므로, 병원 내 신뢰할 수 있는내부 정도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혈당 검사는 가장 널리 수행하는 현장 검사 중 한가지로서의료진의 빠른 치료 결정에 도움을 주지만 다양한 병동에서 혈당측정 기기를 사용하고 있기에 탄탄한 품질 검증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아큐-첵 혈당측정기와 아큐-첵 퀘스트는 빠른 회송시간과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이 유럽에서 열린 ‘2021 유럽 임상미생물학및 감염질환학회(ECCMID)’에서 한국의 성공적인 방역 사례와 함께, 씨젠의 독자적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진단 솔루션을 선보이는 기회를 가졌다. 이번 ‘2021 유럽 임상미생물학 및 감염질환학회(ECCMID)’는 코로나19로 5월5일 온라인을 통해 사전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7월 9일부터 12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개최된다. 발표에 나선 씨젠 마케팅전략실 이기윌렘(Lee Guy Wilhem) 이사는“한국이 초기 방역에 성공한 것은 대용량 검사가 가능한 원플랫폼(one-platform)진단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부의 빠른 판단과 국내 기업들의 기술력이 시너지를 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검사를위한 검체 추출부터 PCR 분석까지 한 번에 가능하도록 한 원플랫폼 진단 시스템은 국내 코로나19 발생 초기 빠른 감염자 선별에 핵심적 역할을 했다. 특히 자동화제품개발 시스템을 보유한 씨젠이 2주 만에 개발한 코로나19 진단키트는‘K-방역’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선도적 역할을 했다고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새로운 팬데믹우려가 커지고
글로벌 소비재 브랜드 브라운(Braun)이 자사 플래그십 귀적외선체온계 라인업에 새로 추가된 ‘IRT6520 블랙’을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미국 소아과 의사들이 선정한 체온계 브랜드 1위, 엄마들이 믿고 쓰는 체온계 브랜드 1위로 뽑히는 등 체온계 분야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져 온 브라운은 지난 100년 간 쌓아온 뛰어난 기술력과 감각적인 디자인 노하우를 모아 IRT6520 블랙(모델명:IRT6520B)을 내놓았다. ‘실용적이면서도 심플하고 견고하게 만드는 것이 좋은 디자인’이라는 브라운의 ‘굿 디자인’ 신념이 고스란히 담긴 IRT6520 블랙은 국내 시장에 출시된 브라운의 글로벌 베스트셀링 귀적외선체온계 라인업 가운데 처음으로 브랜드의 시그니처 컬러인 블랙을 도입해 더욱 눈길을 끈다. 정확성과 편리성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많은 선택을 받아 온 IRT6520의 다양한 기술은 IRT6520 블랙에도 동일하게 적용됐다. 연령별 발열 정도를 판정하는 에이지스마트(AgeSmart™) 기술은 물론, 측정부를 신체 온도에 가깝게 예열시켜 부정확한 측정을 방지하는 예열 팁 기술, 그리고 측정부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해 적절한 측정 위치를 안내하는 포지셔닝 시스템 등이
경희 대학 병원 후마니타스 암 병원이 병동 1층 로비에서 ‘고잉 온 다이어리’ 전시회를 열고 있다. 이곳에 전시된 작품들은 코로나 19 로 인해 더욱 외롭고 힘들게 암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는 암 환자 18인이 모바일 일기 앱(세 줄 일기)을 활용해 주어진 주제에 맞춰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써내려 간 글과 사진들이다. “코로나로 심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지지가 필요한 암 환자들에게 삶의 동기를 부여하고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도록 하여 준 매우 뜻 깊은 프로그램으로서 이 프로그램의 명칭이 된 ‘고잉 온 다이어리’처럼 암 발병 후에도 자신들의 아름다운 삶을 계속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의 도입과 환자 편의 제공을 위한 지원에 힘쓰려고 합니다” 이 전시회를 기획하고 개최한 후마니타스 암 병원 정 상설 원장의 말이다. ‘암 환자들이 입원해 있는 기간 뿐만 아니라 퇴원한 이후의 재활 에도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고 말하는 정 상설 원장으로부터 이 전시회를 개최한 계기와 과정, 그리고 후마니타스암병원을 다른 암 병원과 차별해서 운영해 나가고자 하는 그의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1년 넘게 우리의 일상을 괴롭혔던 코로나 19로 인해 사람들의 모든 생활이 많이 바뀌